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생활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 - 민간요법으로 치료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 - 민간요법으로 치료


안녕하세요

오늘은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에 따른 치료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민간요법으로 어떻게 치료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 - 민간요법으로 치료

옻나무나 넝쿨 옻나무 등에 잘못 걸리는 날엔 하루를 망칠 수도 있다. 

독이 있는 잎, 줄기, 뿌리가 적어도 1-3주까지 지속될 수 있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옻을 치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시간 뿐이지만 통증과 가려움증을 완화해주는 방법들이 있으니 참고하자.


1. 옷을 벗고 세척한다.

옷을 벗고 세척한다. 

옻에 닿은 옷가지는 모두 벗어 비닐 백에 담고 가능한 빨리 다른 옷과는 별개로 빨래하는 것이 안전하다.


2. 알코올로 소독한다. 

옻의 독을 알코올로 문지르며 소독해 독이 피부에 흡수되어 점점 스며드는 것을 막는다. 

당장 좋아지지는 않지만 독이 스며들어 깊이 흡수되는 것을 막는다.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약을 구매해 복용하거나 연고를 발라준다.

3. 찬 물로 해당 부위를 씻어내고 긁지 않는다.

뜨거운 물이나 따뜻한 물은 절대 금지이다. 

오히려 모공을 열어 옻이 더 퍼지게 하는 역할을 하므로 차갑고 흐르는 물에 10-15분 간 계속 씻어낸다.

붉게 오르는 반점은 전염성은 없지만 자꾸 긁으면 피부 장벽을 무너뜨려 박테리아가 상처 속으로 들어오게 할 수도 있다.

물집이 잡혔다면 건들지 말고 심지어 물집이 터져도 손을 대지 않는 것이 좋다.

해당 부위를 밴드나 붕대로 보호해 잠결이나 무의식적으로 긁지 않도록 한다.

4. 국소 부위 연고나 로션을 바른다. 

칼라민 로션이나 캡 사이신 크림 혹은 히드로코르티손 (피부염・관절염 치료제에 쓰이는 부신 피질 호르몬의 하나) 크림을 이용해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다. 

옻 식물에 닿자마자 바르는 것이 아니라 하루쯤 지나 가렵기 시작하면 바른다. 

캡 사이신 크림은 대부분 약국에서 관절염 통증을 완화하는데 쓰이는 크림이며 처음에는 화끈거리지만 몇 시간 안에 가려움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어 좋다.


5. 항히스타민제(알레르기 치료제)를 복용한다.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데 쓰이는약물로 옻이 올랐을 때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다면 복용하는 것이 좋다. 

가벼운 통증이 있을 때 효과가 좋고 자기 전 복용하면 졸리게 유도하여 숙면을 취하게 돕는다. 

다만 항히스타민제는 복용하는 것은 좋으나 크림으로 된 연고 등을 옻 알레르기 부위에 바르면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한다.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 - 민간요법으로 치료

6. 도토리 추출물이 효과적이다. 

도토리를 으깨어 물에 끓인 후 도토리는 건져내고 끓인 물을 식혀 수건이나 면 소재의 천에 적신 것을 반점이 생긴 부위에 대고 있는다. 
이것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한 연구는 아직 없지만 옻의 가려움증을 해소하는 대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7. 베이킹 소다와 물을 3:1로 섞은 것을 바른다. 

이 반죽을 옻이 오른 부위에 발라주고 마르길 기다린다. 
발라서 떨어지게 하는 것을 몇 시간 마다 반복해 주면 물집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다.

8. 유제품을 이용한다. 

(유제품 알레르기가 없다면) 버터밀크나 요거트를 사용해 해당 부위에 바른다. 
유제품 속의 단백질이 물집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된다.

9. 티백을 사용한다. 

욕조에 물을 채우고 10-15개의 티백을 우려낸다. 
이 때 카모마일 티를 사용하면 카모마일의 소염 작용 효과를 볼 수 있어 더 좋다. 
20분간 차를 우려낸 욕조 물에 몸을 담그면 가려움증에 도움이 된다. 
진하고 강한 찻잎의 티백을 몇 시간 동안 옻이 오른 부위에 대고 있어도 좋다.

10. 사과 식초로 헹군다. 

사과 식초는 다양한 효능과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옻이 올랐을 때 가라앉히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한다. 
탈지면이나 솜에 사과 식초를 묻혀 대고 있거나 식초와 물을 1:1로 섞은 희석액으로 해당 부위를 헹궈낸다.

11. 알로에 베라를 바른다. 

알로에 베라는 선인장과 유사한 식물로 잎에서 차가운 겔이 나온다. 

이것을 옻이 오른 부위에 바르거나 시중에 판매되는 알로에 베라 제품을 발라도 좋다. 

제품을 구입할 때에는 알로에 베라의 함유가 90% 이상인 것으로 구매해야 한다.


12. 찬 커피를 묻힌다. 

남은 커피가 있다면 탈지면이나 깨끗한 솜에 묻혀 옻이 오른 부위에 대고 있으면 커피 속의 클로로겐산이 천연 소염 작용을 해 좋다고 한다. 

만약 아직 커피 온도가 따듯하다면 충분히 식힌 후 사용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옻 올랐을때 알레르기 증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민간요법으로도 치료 가능하다면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